查看原文
其他

[힐링] 적게 먹을수록 뇌는 건강해진다… 연구로 입증

2016-10-21 조글로 zoglo.net 潮歌网



-브라질 연구진, 칼로리 40% 줄인 쥐의뇌 신경세포 손상 방지 확인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적게 먹는 것이 장수의 비결이라는 주장이 연구로 입증됐다.
세계적인 장수촌인 일본 오키나와 등에선 장수의 비결이 소식(小食)이라는 역학 연구결과들이 있었지만 과학적으로 이를 증명한 것이다.
의학 전문 사이트 메디컬익스프레스 등은 브라질 생체의학 레독스 프로세스 연구센터(Redoxoma)팀이 칼로리 섭취량을 줄이는 것이 뇌세포를 보호하는 생체의학적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쥐를 두 그룹으로 나눠 생체 내 실험과 생체 외 실험을 모두 시행했다. 한 그룹엔 먹이와 물을 일반적인 양으로 주고 다른 그룹은 14주 동안 칼로리 섭취를 40% 줄였다. 다만 먹이량 감소로 영양실조에 걸리는 것을 막기 위해 비타민과 미네랄은 별도로 줬다. 
또 두 그룹 쥐들에게 지나친 칼슘으로 인해 뇌 해마 부위에서 글루타민산 수용체 과잉작용을 일으키도록 하는 카인산을 주입했다. 이 경우 통상적으로 ‘흥분독성’ 때문에 뇌 신경세포가 손상되거나 죽어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간질 발작, 뇌졸중 등 신경퇴행설 질환과 증상이 나타난다.

그 결과 섭취 열량을 줄인 쥐들의 뇌에선 미토콘드리아성 칼슘 보유가 증가하면서 흥분독성으로 인한 뇌세포 손상이 일어나지 않았다. 

이어서 연구팀은 두 그룹 쥐들에게서 미토콘드리아를 분리해 시클로스포린이라는 약물에 대한 반응을 생체 밖에서 실험했다. 이 약물은 시클로필린D라는 단백질의 작용을 방해해 미토콘드리아성 칼슘 보유를 증가시킨다. 실험 결과 두 그룹 모두 시클로필린D 수준이 동일했다.

이에 연구팀은 생체 내에서 시클로필린D 발현을 억제하는 다른 단백질이 있는지 찾아 본 결과 칼로리를 줄인 그룹에서는 SIRT3이라는 단백질이 늘어나 시클로필린D의 구조를 변조하는 것과 각종 항산화효소가 증가하는 것을 밝혀냈다. 

논문 주저자 이그나시오 아미고 박사는 “칼로리 섭취를 줄이면 각종 신경 퇴행성 질환을 일으키는 뇌의 산화 스트레스 통제 능력이 커짐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관련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정보를 주는 연구”라고 밝혔다. 


[힐링] 당뇨병 환자, 고지혈증이 더 위험한 리유


*[힐링] 과음 다음날 배가 고픈 리유


*[힐링] 뱃살 빼기에 효과적인 5가지 운동법


*[힐링] 여자만 생기는 병? 아니 남자도 유방암에!!!


주목 아래의 阅读原文을 클릭하면 힐링 제1집 150편을 볼수 있습니다.


주목 아래의 阅读原文을 클릭하면 힐링 제1집 150편을 볼수 있습니다.

您可能也对以下帖子感兴趣

文章有问题?点此查看未经处理的缓存